8. 다음 Python으로 구현된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그 실행 결과를 쓰시오.
def cnt(str, p):
result = 0
for i in range(len(str)):
sub = str[i:i+len(p)]
if sub == p:
result += 1
return result
str = "abdcabcabca"
p1 = "ca"
p2 = "ab“
print(f'ab{cnt(str, p1)} ca{cnt(str, p2)}')
위 Python 문제를 풀기 위해 알아야 하는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.
1. 문자열 슬라이싱 (String Slicing)
- 슬라이싱은 문자열이나 리스트의 일부를 잘라서 추출하는 방법입니다.
- str[i:j]는 str 문자열의 인덱스 i부터 j까지의 부분 문자열을 가져옵니다. (단, j는 포함되지 않음)
- 예를 들어, str = "abcdef"일 때 str[1:4]는 'bcd'를 반환합니다.
- 문제에서는 str[i:i+len(p)]를 사용하여 문자열에서 p와 같은 길이만큼의 부분 문자열을 가져옵니다.
2. 반복문 (for loop)과 인덱스 순회
- for loop를 통해 문자열의 모든 인덱스를 순회하면서 특정 조건을 검사합니다.
- for i in range(len(str))는 문자열 str의 길이만큼 반복하며, 인덱스 i를 사용해 각 위치에서 시작하는 부분 문자열을 탐색합니다.
3. 조건문 (if statement)
- if 문을 사용해 특정 조건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.
- if sub == p:는 슬라이싱한 부분 문자열 sub이 패턴 p와 동일한지를 확인합니다.
- Python에서 문자열 비교는 값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며, 두 문자열이 동일한 문자들을 포함하고 있는지 비교합니다.
4. 문자열의 인덱스와 접근
- Python에서는 문자열의 인덱스가 0부터 시작합니다. 이를 이용해 문자열 내에서 각 문자의 위치에 접근합니다.
- 문자열을 인덱스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, 예를 들어 str[i]는 문자열의 i번째 문자를 의미합니다.
5. 함수 정의 및 호출
- 함수 정의: def cnt(str, p):를 통해 함수 cnt를 정의합니다. 이 함수는 매개변수로 문자열 str과 패턴 p를 받습니다.
- 함수 호출: 함수 cnt는 특정 입력을 받아 실행되며, 호출 결과를 변수나 출력문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함수가 문자열을 순회하면서 특정 패턴이 몇 번 나타나는지를 계산해 반환하는 기능을 이해해야 합니다.
6. f-string (Formatted String)
- f-string은 문자열 포매팅을 위한 최신 문법으로, {} 안에 변수나 표현식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.
- 예를 들어 print(f'ab{cnt(str, p1)} ca{cnt(str, p2)}')에서는 cnt(str, p1)과 cnt(str, p2)의 결과가 문자열에 삽입되어 최종 문자열이 출력됩니다.
요약
- 문자열 슬라이싱을 사용해 문자열의 일부분을 추출하는 방법.
- 반복문과 조건문을 통해 문자열을 순회하고 조건에 맞는 부분 문자열을 검사하는 방법.
- 문자열 인덱스 접근을 통해 특정 위치의 문자를 가져오는 개념.
- 함수 정의 및 호출을 통해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로직을 캡슐화하고, 함수 호출을 통해 재사용하는 방법.
- f-string 포매팅을 사용해 변수의 값을 문자열에 삽입하는 방법.
프로그램 분석
- cnt 함수의 역할
- cnt(str, p) 함수는 문자열 str에서 패턴 p가 몇 번 나타나는지 계산합니다.
- 함수는 문자열 str을 순회하면서 부분 문자열 sub을 str[i:i+len(p)]로 추출해 패턴 p와 비교합니다.
- 만약 부분 문자열이 p와 같으면 result 값을 1 증가시킵니다.
- 변수 정의 및 함수 호출
- str = "abdcabcabca": 검사할 문자열입니다.
- p1 = "ca": 첫 번째 패턴.
- p2 = "ab": 두 번째 패턴.
- 함수 호출 결과 분석
- cnt(str, p1)에서 p1은 "ca"입니다.
- 문자열 "abdcabcabca"에서 "ca"의 등장 위치를 찾습니다:
- 인덱스 3에서 "ca"가 첫 번째로 등장합니다: "abdc**ca**bcabca"
- 인덱스 6에서 "ca"가 두 번째로 등장합니다: "abdcabc**ca**bca"
- 인덱스 9에서 "ca"가 세 번째로 등장합니다: "abdcabcab**ca**"
- 따라서 cnt(str, p1)의 결과는 3입니다.
- 문자열 "abdcabcabca"에서 "ca"의 등장 위치를 찾습니다:
- cnt(str, p2)에서 p2는 "ab"입니다.
- 문자열 "abdcabcabca"에서 "ab"의 등장 위치를 찾습니다:
- 인덱스 0에서 "ab"가 첫 번째로 등장합니다: "**ab**dcabcabca"
- 인덱스 5에서 "ab"가 두 번째로 등장합니다: "abdc**ab**cabca"
- 인덱스 8에서 "ab"가 세 번째로 등장합니다: "abdcabc**ab**ca"
- 따라서 cnt(str, p2)의 결과는 3입니다.
- 문자열 "abdcabcabca"에서 "ab"의 등장 위치를 찾습니다:
- cnt(str, p1)에서 p1은 "ca"입니다.
- 출력 결과
- print(f'ab{cnt(str, p1)} ca{cnt(str, p2)}')에서 cnt(str, p1)과 cnt(str, p2)의 결과는 각각 3입니다.
- 따라서 출력 결과는 "ab3 ca3"입니다.
최종 실행 결과
코드 복사
ab3 ca3
1. 인덱스 개념
문자열에서 "인덱스"는 문자열 내에서 각 문자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숫자입니다. Python에서 문자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. 즉, 첫 번째 문자는 인덱스 0, 두 번째 문자는 인덱스 1, 그리고 이런 식으로 계속 이어집니다.
예를 들어:
- 문자열 str = "abdcabcabca"의 경우:
- str[0] = 'a'
- str[1] = 'b'
- str[2] = 'd'
- 이런 식으로 마지막 문자까지 접근할 수 있습니다.
2. 인덱스 3, 인덱스 6에 대해
인덱스는 패턴 "ca"가 시작하는 위치를 나타냅니다.
- 예를 들어 문자열 "abdcabcabca"에서 패턴 "ca"를 찾을 때:
- 첫 번째 "ca"는 인덱스 3에서 시작합니다: str[3:5] → 'ca'
- 두 번째 "ca"는 인덱스 6에서 시작합니다: str[6:8] → 'ca'
즉, 문자열 내에서 패턴이 시작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숫자가 인덱스입니다.
3. print(f'...') 문법 설명 (f-string)
print(f'ab{cnt(str, p1)} ca{cnt(str, p2)}')는 Python에서 f-string이라는 기능을 사용한 것입니다. f-string은 서식 문자열 (formatted string)을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. f-string을 사용하면 문자열 안에 변수나 표현식을 {} 안에 넣어, 문자열을 보다 쉽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.
- f'...': 문자열 앞에 f를 붙이면 f-string이 됩니다.
- {}: 중괄호 {} 안에 변수나 표현식을 넣어서, 그 값을 문자열 안에 삽입합니다.
예를 들어:
- cnt(str, p1)의 결과가 3이라면,
- cnt(str, p2)의 결과도 3이라면,
- print(f'ab{cnt(str, p1)} ca{cnt(str, p2)}')는
- 'ab3 ca3'이라는 문자열을 출력합니다.
이 방식은 기존의 문자열 포맷팅(.format()이나 % 연산자)보다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최근 Python에서 자주 사용됩니다.
요약
- 인덱스 : 문자열에서 각 문자에 접근하기 위한 숫자, 0부터 시작합니다.
- f-string (f'...') : 문자열 안에 변수나 표현식을 삽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Python의 서식 문자열 기능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