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[정처기] [SQL] 기본함수의 활용
codecodekode
2024. 10. 17. 14:00
4. 다음 SQL 결과에 알맞는 답을 작성하시오.
Index col1 col2
1 | 2 | Null |
2 | 3 | 6 |
3 | 5 | 5 |
4 | 6 | 3 |
5 | Null | 3 |
SELECT count(col2)
FROM TABLE
WHERE col1 in(2,3) or col2 in(3,5);
1. 쿼리 해석
- count(col2) : col2의 null 값을 제외한 값들의 개수를 셉니다.
- WHERE col1 IN (2, 3) : col1이 2 또는 3인 행을 찾습니다.
- OR col2 IN (3, 5) : 또는 col2가 3 또는 5인 행을 찾습니다.
- count(col2)는 col2가 null이 아닌 경우에만 해당 값을 셉니다.
2. 조건에 맞는 행 찾기
1 | 2 | Null |
2 | 3 | 6 |
3 | 5 | 5 |
4 | 6 | 3 |
5 | Null | 3 |
3. 카운트되는 값
- Index 1: col2가 Null이므로 카운트되지 않음.
- Index 2: col1 = 3이므로 카운트됨.
- Index 3: col2 = 5이므로 카운트됨.
- Index 4: col2 = 3이므로 카운트됨.
- Index 5: col2 = 3이므로 카운트됨.
4. 최종 결과
- count(col2)는 Null이 아닌 col2 값의 개수를 세므로, 총 4개의 값이 카운트됩니다.
최종 답
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