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[JAVA] 문자열 분할 (split) 메서드의 사용법과 결과 처리
codecodekode
2024. 10. 7. 17:12
다음 Java로 구현된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그 실행 결과를 쓰시오.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tring str = "ITISTESTSTRING";
String[] result = str.split("T");
System.out.print(result[3]);
}
}
문자열 분할 (split("T"))
- 문자열 str을 "T"를 기준으로 나눕니다.
- str = "ITISTESTSTRING"이므로, 문자열을 'T'를 기준으로 분할하면 다음과 같이 나누어집니다:
- split("T")의 결과 분석:
- "ITISTESTSTRING"을 문자 'T'로 나누면 각 분할된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"I": 첫 번째 'T' 앞에 있는 부분
- "IS": 두 번째 'T' 앞에 있는 부분
- "ES": 세 번째 'T' 앞에 있는 부분
- "S": 네 번째 'T' 앞에 있는 부분
- "RING": 마지막 'T' 뒤에 있는 부분
- "ITISTESTSTRING"을 문자 'T'로 나누면 각 분할된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따라서 split("T")의 결과 배열은 다음과 같이 형성됩니다:
- result[0] = "I"
- result[1] = "IS"
- result[2] = "ES"
- result[3] = "S"
- result[4] = "RING"
코드의 최종 실행 과정
- result[3]은 "S"입니다.
- 따라서 출력 결과는 "S"가 됩니다.
왜 결과가 'S'인가?
split() 메서드가 문자열을 'T'를 기준으로 분리할 때 'T' 문자가 연속적으로 나올 경우 빈 문자열이 생길 수 있으며, 'T'로 나누어진 각 부분 문자열이 배열의 요소가 됩니다. 이 경우 'T'를 기준으로 분리된 "S"가 result[3]에 저장되며, 그 결과가 출력되는 것입니다.
최종 실행 결과
코드 복사
S
이 Java 문제를 풀기 위해 알아야 하는 주요 개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:
1. 문자열 클래스 (String)
- String 클래스는 Java에서 단일 문자열 값을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.
- 문자열은 불변(Immutable)이라는 특성을 가지므로, 문자열을 수정하는 경우 항상 새로운 String 객체가 생성됩니다.
2. 문자열 분할 (split 메서드)
- split(String regex) 메서드는 주어진 정규식(regex)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눕니다.
- 이 메서드는 문자열을 지정된 구분자로 나누고, 분리된 각 부분 문자열들을 배열에 담아 반환합니다.
- 예를 들어, str.split("T")는 문자열을 문자 'T'를 기준으로 나눕니다. 이때 'T'로 나눈 모든 부분이 배열의 요소로 저장됩니다.
- 결과 배열의 각 요소는 분리된 문자열이며, 이 문제의 경우 'T'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누어 5개의 요소를 갖게 됩니다.
3. 배열 (Array)
- String[] 배열은 여러 개의 문자열을 저장하는 배열입니다. 이 문제에서는 split() 메서드를 통해 분리된 문자열을 배열로 반환받고, 각 요소에 접근하여 출력합니다.
- 배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므로, 예를 들어 result[3]은 네 번째 요소를 의미합니다.
- 배열의 요소는 각각 문자열 부분으로 저장되어 있으며, 문제에서는 이 배열의 인덱스를 정확히 이해하고 각 요소에 접근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.
4. 문자열의 분할 결과 이해
- 빈 문자열 처리: split() 메서드가 사용될 때, 특정 문자나 패턴이 연속되거나, 문자열의 시작 또는 끝에 위치하는 경우 빈 문자열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. 이 경우, 배열의 특정 요소가 빈 문자열로 저장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합니다.
- 예상 출력 이해: split()의 결과로 나오는 배열의 각 부분을 정확히 파악하고, 원하는 요소에 접근해야 올바른 결과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. 이 문제에서는 분할 후 "S"라는 요소가 result[3]에 해당합니다.
5. 정규식 (Regular Expressions)
- split(String regex) 메서드는 정규식을 사용하여 문자열을 나눕니다. 이때 'T'와 같은 단순한 문자열도 정규식으로 처리됩니다.
- 정규식을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은, 만약 특수한 의미를 가진 문자를 사용하면 이를 이스케이프(escape) 해야 합니다.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순한 문자 'T'이므로 그대로 사용합니다.
6. 출력 (System.out.print())
- System.out.print()는 콘솔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함수입니다.
- 배열의 특정 요소를 출력하려면 해당 요소에 인덱스로 접근해야 합니다. 이 문제에서는 result[3]을 출력하는 부분이 이에 해당합니다.
요약
이 Java 문제를 정확히 풀기 위해 필요한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문자열 (String)과 불변성의 이해
- 문자열 분할 (split) 메서드의 사용법과 결과 처리
- 배열 (Array)과 배열의 인덱스 사용법
- 문자열을 분할할 때 생기는 빈 문자열 처리에 대한 이해
- 정규식 (Regular Expression)을 통한 문자열 분할의 기본적인 이해